오늘은 부산 사하구의 한 아파트형 주상복합 건물 1층 커피숍에서 진행했던 사하구매장하수구막힘 작업 사례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일반적으로 카페처럼 매일 많은 물과 커피 찌꺼기, 얼음 가루 등을 사용하는 업장의 경우, 배관 막힘이 발생하기 쉽고 자칫하면 영업에 큰 차질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번에도 그런 상황이었고,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해드렸습니다.
오후 3시쯤, 여성 사장님으로부터 상담 전화를 받았습니다. 커피머신기 아래쪽에 설치된 싱크대 배수가 완전히 막혀 물이 전혀 내려가지 않고 있어, 프라스틱 양동이로 물을 받아가며 임시로 사용 중이라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미 한참 장사가 진행 중인 시간대였고, 손님 응대 중에 계속 배수 문제로 신경이 쓰이신다고 하셨습니다. 저는 다른 현장 작업을 막 마친 상태였기에 1시간 정도면 도착 가능하다고 안내드리고, 바로 예약 안내 문자를 보내드린 후 서둘러 현장으로 이동했습니다.
현장에 도착해 매장 내부 구조를 파악한 뒤,문제가 된 싱크대와 배관 라인을 점검했습니다. 매장은 카페 특성상 커피머신, 재빙기, 설거지용 싱크대 등 여러 장비가 연결되어 있었고, 배관은 약 20미터 정도 길이의 50mm PVC 파이프였으며 화장실 앞쪽에서 수직으로 떨어져 공용 관으로 나가는 구조였고, 중간 대부분은 노출형 수평 배관으로 인테리어 시공되어 있었습니다. 겉으로 보기엔 별다른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고객님께 말씀드린 후 내시경 장비를 준비해 배관 내부 상태를 확인해보았습니다.
그렇게 배관 속을 들여다보니, 커피전문점에서 자주 발생하는 전형적인 상황이 펼쳐졌습니다. 배관 안쪽엔 커피 가루 찌꺼기들이 군데군데 쌓여 있었고, 심한 곳은 거의 통로를 막고 있을 정도였습니다. 커피 가루는 물보다 무겁고 미세해서 유속이 느리거나 구배가 좋지 않은 배관에서는 바닥에 가라앉아 쉽게 막힘을 유발합니다. 특히 수평 배관 구조에서는 물이 원활히 빠지지 않으면서 커피 찌꺼기가 누적되기 쉽기 때문에, 그만큼 정기적인 세척 관리가 중요합니다. 고객님께 현재 배관 내부 상태를 사진으로 보여드리고, 막힘의 원인과 작업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매장하수구막힘 해결을 위해선 고압세척기(크란젤)를 활용한 세척 방법과 전동 샤프트를 활용한 방식 두 가지가 있으며, 각각 장단점이 있다고 안내드렸습니다. 고객님께서는 인테리어 마감이 잘 되어 있는 상태라 물 튐이 적고 진동이 덜한 샤프트 방식으로 작업을 해달라고 요청하셨고, 바로 준비하여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우선 싱크대 쪽 배관부터 샤프트를 투입해 천천히 진입시키며 배관 안쪽의 커피 가루 찌꺼기를 제거해 나갔습니다. 작업 중간 중간 싱크대에 물을 틀어가며 흐름을 확인했고, 막혔던 구간이 뚫릴 때는 물이 한꺼번에 쏟아지듯 빠져나가며 탁한 물이 배출됐습니다. 이어서 화장실 쪽 배관 끝단까지 이동해 전체 라인을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다시 내시경을 투입해 내부 상태를 점검했습니다. 세척 후 깨끗해진 배관 내부를 고객님께 직접 보여드리자, “이렇게 보니까 진짜 속이 다 시원하네요”라며 크게 만족해하셨고, 이제는 플라스틱 통에 물을 받지 않아도 되니 정말 살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덧붙여 감사 인사와 함께 시원한 아이스 카페라떼 한 잔까지 주셔서 저도 기분 좋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사하구매장하수구막힘은 단순히 음식물이나 기름뿐만 아니라 커피 가루처럼 물과 함께 흘러들어가기 쉬운 미세한 찌꺼기들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배관 구배가 좋지 않거나 수평 구조가 많은 경우, 일시적인 뚫음 작업보다는 정기적인 세척과 점검이 꼭 필요합니다. 매장 특성과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 가장 적절한 장비와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드리는 것이 저희의 역할입니다. 언제든지 막힘 문제로 불편하실 땐 편하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상황에 맞는 빠른 대응으로 깔끔하게 해결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